다름슈타튬

다름슈타튬 (Ds)

화학 원소의 하나
원자 번호110
원자량281
질량수267
10
주기7
구역d
양성자110 p+
중성자157 n0
전자110 e-
Animated 보어 모형 of Ds (다름슈타튬)

물리적 성질

원자 반지름
몰 부피
공유 반지름
Metallic Radius
ionic radius
Crystal Radius
판데르발스 반지름
밀도

화학적 성질

에너지
proton affinity
전자 친화도
이온화 에너지
이온화 에너지 of Ds (다름슈타튬)
기화열
융해열
표준 생성 엔탈피
전자
전자 껍질2, 8, 18, 32, 32, 16, 2
보어 모형: Ds (다름슈타튬)
원자가 전자1
루이스 구조: Ds (다름슈타튬)
전자 배치[Rn] 5f14 6d9 7s1
1s2 2s2 2p6 3s2 3p6 4s2 3d10 4p6 5s2 4d10 5p6 6s2 4f14 5d10 6p6 5f14 6d9 7s1
Enhanced 보어 모형 of Ds (다름슈타튬)
Orbital Diagram of Ds (다름슈타튬)
산화수
전기 음성도
Electrophilicity Index
fundamental state of matter
물질의 상태
기체상
끓는점
녹는점
critical pressure
임계 온도
삼중점
appearance
무색
appearance
굴절률
물성
열전도율
열팽창
molar heat capacity
비열
비열비
electrical properties
type
전기전도도
비저항
초전도 현상
자기
type
자화율 (Mass)
자화율 (Molar)
자화율 (Volume)
magnetic ordering
퀴리 온도
Néel temperature
구조
결정 구조 ()
lattice constant
Lattice Angles
물질의 기계적 성질
굳기
부피 탄성 계수
전단 탄성 계수
영률
푸아송 비
음속
classification
범주전이 금속, Transition metals
CAS GroupVIIIA
IUPAC GroupVIII
Glawe Number
Mendeleev Number70
Pettifor Number
Geochemical Class
골트슈미트 분류synthetic

other

Gas Basicity
극갈림율
C6 Dispersion Coefficient
allotrope
단면적
Neutron Mass Absorption
양자수3D3
공간군 ()

다름슈타튬 동위 원소

안정 동위 원소0
불안정 동위 원소18
Natural Isotopes0

267Ds

질량수267
중성자 개수157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10 ± 8 us
스핀3/2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1995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100%

268Ds

질량수268
중성자 개수158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

269Ds

질량수269
중성자 개수159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230 ± 110 us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1995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100%

270Ds

질량수270
중성자 개수160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205 ± 48 us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2001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100%
SF (spontaneous fission)

271Ds

질량수271
중성자 개수161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144 ± 53 ms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1998
반전성

decay mode세기
SF (spontaneous fission)75%
α (α emission)25%

272Ds

질량수272
중성자 개수162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SF (spontaneous fission)

273Ds

질량수273
중성자 개수163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240 ± 100 us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1996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100%

274Ds

질량수274
중성자 개수164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
SF (spontaneous fission)

275Ds

질량수275
중성자 개수165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
SF (spontaneous fission)

276Ds

질량수276
중성자 개수166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
SF (spontaneous fission)

277Ds

질량수277
중성자 개수167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6 ± 3 ms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2010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100%
SF (spontaneous fission)

278Ds

질량수278
중성자 개수168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
SF (spontaneous fission)

279Ds

질량수279
중성자 개수169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210 ± 40 ms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2004
반전성

decay mode세기
SF (spontaneous fission)88%
α (α emission)12%

280Ds

질량수280
중성자 개수170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25 ± 20 ms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1999
반전성+

decay mode세기
SF (spontaneous fission)100%

281Ds

질량수281
중성자 개수171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14 ± 3 s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2004
반전성

decay mode세기
SF (spontaneous fission)90%
α (α emission)10%

282Ds

질량수282
중성자 개수172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4.2 ± 3.3 m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2016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100%
SF (spontaneous fission)

283Ds

질량수283
중성자 개수173
원자량
G-상수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
nuclear quadrupole moment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
SF (spontaneous fission)

284Ds

질량수284
중성자 개수174
원자량
G-상수
0
자연 존재비
방사성 붕괴☢️ 방사성 원소
반감기
스핀0
nuclear quadrupole moment
0
발견·발명된 날
반전성+

decay mode세기
α (α emission)
SF (spontaneous fission)
Electron shell 110 Darmstadtium

역사

다음이 발견·발명하였음Heavy Ion Research Laboratory (HIRL)
발견된 곳Germany
발견·발명된 날1994
어원학Named after the city of Darmstadt, Germany where GSI Helmholtz Centre for Heavy Ion Research is located.
발음oon-nun-NIL-i-em (영어)

source

자연 존재비
지각 존재비
자연 존재비 (대양)
자연 존재비 (인간의 몸)
0 %
자연 존재비 (유성체)
0 %
자연 존재비 (태양)
0 %
우주 존재비
0 %

Nuclear Screening Const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