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 번호 | 69 |
---|---|
원자량 | 168.93422 |
질량수 | 169 |
족 | |
---|---|
주기 | 6 |
구역 | f |
양성자 | 69 p+ |
---|---|
중성자 | 100 n0 |
전자 | 69 e- |
원자 반지름 | |
---|---|
몰 부피 | |
공유 반지름 | |
Metallic Radius | |
ionic radius | |
Crystal Radius | |
판데르발스 반지름 | |
밀도 |
에너지 | |
---|---|
proton affinity | |
전자 친화도 | |
이온화 에너지 | |
기화열 | |
융해열 | |
표준 생성 엔탈피 | |
전자 | |
전자 껍질 | 2, 8, 18, 31, 8, 2 |
원자가 전자 | 2 ⓘ |
전자 배치 | [Xe] 4f13 6s2ⓘ 1s2 2s2 2p6 3s2 3p6 4s2 3d10 4p6 5s2 4d10 5p6 4f13 6s2 |
산화수 | 0, 1, 2, 3 |
전기 음성도 |
1.25
|
Electrophilicity Index | |
fundamental state of matter | |
물질의 상태 | 고체 |
기체상 | |
끓는점 | |
녹는점 | |
critical pressure | |
임계 온도 | |
삼중점 | |
appearance | |
색 | 은색
|
appearance | silvery gray |
굴절률 | |
물성 | |
열전도율 | |
열팽창 | |
molar heat capacity | |
비열 | |
비열비 | |
electrical properties | |
type | Conductor |
전기전도도 | |
비저항 | |
초전도 현상 | |
자기 | |
type | paramagnetic |
자화율 (Mass) | 0.00000199 m³/Kg
|
자화율 (Molar) | 0.000000336179 m³/mol
|
자화율 (Volume) | 0.0185488
|
magnetic ordering | |
퀴리 온도 | |
Néel temperature | |
구조 | |
결정 구조 | 단순 육방정계 (HEX) |
lattice constant | |
Lattice Angles | π/2, π/2, 2 π/3 |
물질의 기계적 성질 | |
굳기 | |
부피 탄성 계수 | |
전단 탄성 계수 | |
영률 | |
푸아송 비 | 0.21
|
음속 | |
classification | |
범주 | 란타넘족, Lanthanides |
CAS Group | |
IUPAC Group | |
Glawe Number | 20 |
Mendeleev Number | 37 |
Pettifor Number | 22 |
Geochemical Class | rare earth & related |
골트슈미트 분류 | litophile |
Gas Basicity | |
---|---|
극갈림율 | |
C6 Dispersion Coefficient | |
allotrope | |
단면적 | 105
|
Neutron Mass Absorption | 0.025
|
양자수 | 2F7/2 |
공간군 | 194 (P63/mmc) |
안정 동위 원소 | 1 |
---|---|
불안정 동위 원소 | 38 |
Natural Isotopes | 1 |
질량수 | 144 |
---|---|
중성자 개수 | 75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2.3 ± 0.9 us
|
스핀 | 10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2005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p (proton emission) | |
β+ (β+ decay; β+ = ϵ + e+) |
질량수 | 145 |
---|---|
중성자 개수 | 76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3.17 ± 0.2 us
|
스핀 | 1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98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p (proton emission) | 100% |
질량수 | 146 |
---|---|
중성자 개수 | 77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155 ± 20 ms
|
스핀 | 1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93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p (proton emission) | 100% |
β+ (β+ decay; β+ = ϵ + e+) | |
β+ p (β+-delayed proton emission) |
질량수 | 147 |
---|---|
중성자 개수 | 78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580 ± 30 ms
|
스핀 | 1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82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85% |
p (proton emission) | 15% |
질량수 | 148 |
---|---|
중성자 개수 | 79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700 ± 200 ms
|
스핀 | 10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82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β+ p (β+-delayed proton emission) |
질량수 | 149 |
---|---|
중성자 개수 | 80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900 ± 200 ms
|
스핀 | 1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87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β+ p (β+-delayed proton emission) | 0.26% |
질량수 | 150 |
---|---|
중성자 개수 | 81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
스핀 | 1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82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51 |
---|---|
중성자 개수 | 82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4.17 ± 0.11 s
|
스핀 | 1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82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52 |
---|---|
중성자 개수 | 83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8 ± 1 s
|
스핀 | 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80 |
반전성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53 |
---|---|
중성자 개수 | 84 |
원자량 | |
G-상수 | 1.26 ± 0.02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1.48 ± 0.01 s
|
스핀 | 1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5 ± 1
|
발견·발명된 날 | 1964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α (α emission) | 91% |
β+ (β+ decay; β+ = ϵ + e+) | 9% |
질량수 | 154 |
---|---|
중성자 개수 | 85 |
원자량 | |
G-상수 | -0.57 ± 0.01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8.1 ± 0.3 s
|
스핀 | 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4 ± 0.9
|
발견·발명된 날 | 1964 |
반전성 |
decay mode | 세기 |
---|---|
α (α emission) | 54% |
β+ (β+ decay; β+ = ϵ + e+) | 46% |
질량수 | 155 |
---|---|
중성자 개수 | 86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21.6 ± 0.2 s
|
스핀 | 1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71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99.17% |
α (α emission) | 0.83% |
질량수 | 156 |
---|---|
중성자 개수 | 87 |
원자량 | |
G-상수 | 0.2 ± 0.015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83.8 ± 1.8 s
|
스핀 | 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48 ± 0.11
|
발견·발명된 날 | 1971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α (α emission) | 0.064% |
질량수 | 157 |
---|---|
중성자 개수 | 88 |
원자량 | |
G-상수 | 0.952 ± 0.03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3.63 ± 0.09 m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74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α (α emission) | 7.5% |
질량수 | 158 |
---|---|
중성자 개수 | 89 |
원자량 | |
G-상수 | 0.02 ± 0.01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3.98 ± 0.06 m
|
스핀 | 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74 ± 0.11
|
발견·발명된 날 | 1970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59 |
---|---|
중성자 개수 | 90 |
원자량 | |
G-상수 | 1.368 ± 0.012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9.13 ± 0.16 m
|
스핀 | 5/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1.93 ± 0.07
|
발견·발명된 날 | 1971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60 |
---|---|
중성자 개수 | 91 |
원자량 | |
G-상수 | 0.16 ± 0.02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9.4 ± 0.3 m
|
스핀 | 1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58 ± 0.04
|
발견·발명된 날 | 1970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61 |
---|---|
중성자 개수 | 92 |
원자량 | |
G-상수 | 0.68571428571429 ± 0.0057142857142857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30.2 ± 0.8 m
|
스핀 | 7/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2.9 ± 0.07
|
발견·발명된 날 | 1959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62 |
---|---|
중성자 개수 | 93 |
원자량 | |
G-상수 | 0.068 ± 0.008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21.7 ± 0.19 m
|
스핀 | 1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69 ± 0.03
|
발견·발명된 날 | 1963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63 |
---|---|
중성자 개수 | 94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1.81 ± 0.005 h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59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64 |
---|---|
중성자 개수 | 95 |
원자량 | |
G-상수 | 2.37 ± 0.03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2 ± 0.1 m
|
스핀 | 1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71 ± 0.05
|
발견·발명된 날 | 1960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ϵ (electron capture) | 61% |
e+ (positron emission) | 39% |
질량수 | 165 |
---|---|
중성자 개수 | 96 |
원자량 | |
G-상수 | -0.278 ± 0.004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30.06 ± 0.03 h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53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66 |
---|---|
중성자 개수 | 97 |
원자량 | |
G-상수 | 0.0463 ± 0.00035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7.7 ± 0.03 h
|
스핀 | 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2.14 ± 0.03
|
발견·발명된 날 | 1948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질량수 | 167 |
---|---|
중성자 개수 | 98 |
원자량 | |
G-상수 | -0.394 ± 0.004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9.25 ± 0.02 d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48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ϵ (electron capture) | 100% |
질량수 | 168 |
---|---|
중성자 개수 | 99 |
원자량 | |
G-상수 | 0.075666666666667 ± 0.0036666666666667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93.1 ± 0.2 d
|
스핀 | 3 |
nuclear quadrupole moment | 3.23 ± 0.07
|
발견·발명된 날 | 1949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β+ = ϵ + e+) | 100% |
β− (β− decay) | 0.01% |
질량수 | 169 |
---|---|
중성자 개수 | 100 |
원자량 | |
G-상수 | -0.462 ± 0.003
|
자연 존재비 | 100
|
방사성 붕괴 | 안정 동위 원소 |
반감기 | Not Radioactive ☢️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34 |
반전성 | + |
질량수 | 170 |
---|---|
중성자 개수 | 101 |
원자량 | |
G-상수 | 0.247 ± 0.004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128.6 ± 0.3 d
|
스핀 | 1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74 ± 0.02
|
발견·발명된 날 | 1936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99.869% |
ϵ (electron capture) | 0.131% |
질량수 | 171 |
---|---|
중성자 개수 | 102 |
원자량 | |
G-상수 | -0.46 ± 0.008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1.92 ± 0.01 y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48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100% |
질량수 | 172 |
---|---|
중성자 개수 | 103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63.6 ± 0.3 h
|
스핀 | 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56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100% |
질량수 | 173 |
---|---|
중성자 개수 | 104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8.24 ± 0.08 h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61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100% |
질량수 | 174 |
---|---|
중성자 개수 | 105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5.4 ± 0.1 m
|
스핀 | 4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60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100% |
질량수 | 175 |
---|---|
중성자 개수 | 106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15.2 ± 0.5 m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61 |
반전성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100% |
질량수 | 176 |
---|---|
중성자 개수 | 107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1.85 ± 0.03 m
|
스핀 | 4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1961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100% |
질량수 | 177 |
---|---|
중성자 개수 | 108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95 ± 7 s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1989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100% |
질량수 | 178 |
---|---|
중성자 개수 | 109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
스핀 | 1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2008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
β− n (β−-delayed neutron emission) |
질량수 | 179 |
---|---|
중성자 개수 | 110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2012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
β− n (β−-delayed neutron emission) |
질량수 | 180 |
---|---|
중성자 개수 | 111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
스핀 |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2012 |
반전성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
β− n (β−-delayed neutron emission) |
질량수 | 181 |
---|---|
중성자 개수 | 112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
스핀 | 1/2 |
nuclear quadrupole moment | 0
|
발견·발명된 날 | 2012 |
반전성 | +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
β− n (β−-delayed neutron emission) |
질량수 | 182 |
---|---|
중성자 개수 | 113 |
원자량 | |
G-상수 | |
자연 존재비 | |
방사성 붕괴 | ☢️ 방사성 원소 |
반감기 | |
스핀 | |
nuclear quadrupole moment | |
발견·발명된 날 | |
반전성 |
decay mode | 세기 |
---|---|
β− (β− decay) | |
β− n (β−-delayed neutron emission) |
다음이 발견·발명하였음 | Per Theodor Cleve |
---|---|
발견된 곳 | Sweden |
발견·발명된 날 | 1879 |
어원학 | From Thule ancient name of Scandinavia. |
발음 | THOO-li-em (영어) |
자연 존재비 | |
---|---|
지각 존재비 | |
자연 존재비 (대양) | |
자연 존재비 (인간의 몸) | |
자연 존재비 (유성체) | 0.0000029 %
|
자연 존재비 (태양) | 0.00000002 %
|
우주 존재비 | 0.00000001 %
|
1 | s | 1.3437 |
2 | p | 4.3588 |
2 | s | 18.0522 |
3 | d | 13.6257 |
3 | p | 20.5239 |
3 | s | 21.0816 |
4 | d | 36.056 |
4 | f | 40.366 |
4 | p | 33.012 |
4 | s | 31.8624 |
5 | p | 51.272 |
5 | s | 48.963 |
6 | s | 60.4158 |